본문 바로가기

바둑

제 7회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대회 우승은 누가 차지 했을까?

반응형

 

 

 

앞선 글에서 설명한 중국의 전설적인 바둑기사 오청원의 이름을 딴 바둑대회 '오청원배' 가 남자 바둑에 이어서

여자 바둑오픈으로로 제 7회를 맞이했다.

2018년에 제 1회 오청원배 세계 여자바둑선수권대회가 개최한 이후 7번째 이며, 세계 여자바둑 대회로써는 최초이자 대회 창설 후 처음으로 통합 예선을 실시하는 대회이다. 이에 따라 이번 대회부터 대회명칭도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오픈'으로 바뀌어 열린다.

 

 

이번 대회부터 통합예선으로 실시됨에따라 통합예선을 거친 후 각 국가별 시드+예선통과자 10인+후원사 와일드카드까지 24강

으로 시작했다.

 

24강 (2024년 11월 24일 13시 개시)
 
오유진
210수 백 불계승
우이밍
 
 
김민서
230수 백 14집반승
루이나이웨이
 
 
쉬하이저
314수 흑 1집반승
웨이신통
 
 
천신양
259수 흑 5집반승
왕천싱
 
 
리팅
142수 백 불계승
친쓰웨
 
 
뤄추웨
180수 백 불계승
천이밍
 
 
루위화
163수 흑 불계승
리허
 
 
위진
177수 흑 불계승
차오요우인
 

(초록색 바탕 이름이 승자)

 

24강에서는 한국의 오유진 9단이 중국의 우이밍 9단을 꺾고 올라갔으며, 김민서 기사는 루이나이웨이의 노련함에 패배를 직면하며 탈락하게 된다.

 

16강 (2024년 11월 25일 13시 개시)
 
최 정
176수 백 불계승
리허
 
 
오유진
195수 흑 불계승
저우훙위
 
 
김은지
148수 백 불계승
친쓰웨
 
 
후지사와 리나
225수 흑 불계승
왕천싱
 
 
우에노 아사미
205수 흑 불계승
웨이신통
 
 
우에노 리사
270수 백 불계승
뤄추웨
 
 
루이나이웨이
155수 흑 불계승
탕자원
 
 
위즈잉
251수 흑 불계승
차오요우인
 
 
한국의 김은지 9단은 친쓰웨의 초반 강약조절에서의 엇박자를 찔러 완승의 내용으로 8강에 진출에 성공했고, 오유진 9단 역시 저우훙위와의 오청원배 역대 우승자 간의 대결에서 저우훙위의 초반 무리수로 잡은 우세를 끝까지 잘 살려 완승을 거두고 8강에 합류했다. 반면 전기 우승자이자 통산 네 번째 오청원배 우승에 도전했던 최정9단은 중국의 리허에게 완패를 당하며 아쉽게 탈락했다.
3판의 중일전 중에서는 일본의 후지사와 리나와 우에노 아사미가 각각 왕천싱과 웨이신통을 꺾고 8강에 진출했다. 한편 우에노 자매의 동생인 우에노 리사는 중국의 뤄추웨에게 패하며 탈락했다.
2판의 중-중 전에서는 각각 탕자원과 위즈잉이 승리하며 8강에 진출했고, 이로써 8강전은 한국 2, 중국 4, 일본 2명의 구도로 정해지게 됐다.
 

 

8강 (2024년 11월 26일 13시 개시)
 
김은지
251수 백 2집반승
뤄추웨
 
 
오유진
209수 흑 불계승
탕자원
 
 
우에노 아사미
289수 흑 반집승
리허
 
 
후지사와 리나
210수 백 불게승
위즈잉
 
 

대망의 8강전에서 김은지 9단은 중국여자갑조리그 다승 1위 뤄추웨를 상대로 완승을 거뒀다. 초반에서 중반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부터 시작된 전투에서 백을 잡은 김은지가 주도권을 잡고 흑돌을 공격하는 흐름이 이어졌으며, 중후반 중앙 전투에서 초읽기에 몰린 뤄추웨의 좋은 버팀수들이 몇 차례 나오며 잠깐 만만치 않아진 장면도 있었으나 김은지가 하변에서 이득을 보며 승세를 굳혔고, 마지막에는 정확한 형세판단을 바탕으로 2집반 승리를 거두고 4강에 진출했다.

제 5회 대회 우승자 오유진 9단은 탕자원에게 완패를 당하며 8강에서 아쉽게 탈락했다. 오유진 9단은 앞선 24강과 16강에서 중국 여자바둑계 강자들인 우이밍과 저우훙위를 연속으로 압도하는 내용으로 이번 대회에서 흐름과 기세가 좋았으나 아쉽게도 그 기세를 더 이상 이어가지는 못했다.
두 판의 중일전에서는 위즈잉이 후지사와 리나에게 완승을 거뒀으며, 일본의 우에노 아사미는 중국의 리허를 상대로 중반 한때 크게 불리했던 바둑을 뒤집고 역전 반집승을 거두었다. 이로써 한국 1명, 중국 2명, 일본 1명의 4강 진출자들이 확정됐다. 
 
4강 (2024년 11월 27일 13시 개시)
 
김은지
335수 흑 2집반승
탕자원
 
 
우에노 아사미
288수 흑 1집반승
위즈잉
 
첫 세계대회 결승을 코앞에 두었던 김은지 9단이 뼈아픈 역전패를 당하고 말았다. 김은지는 우세한 형세를 지키지 못하고 바둑이 꼬이기 시작해 결국 탕자원에게 우하에서 실리를 내주며 끌려가는 바둑이 되며 패배했다.이로써 첫 세계대회 결승의 꿈이 좌절되며 우승은 다음으로 넘어가버렸다.
우에노 아사미는 위즈잉을 상대로 중반까지 불리했던 바둑을 막판에 대역전승을 거두며 1집반을 남기고 결승에 진출했다. 이렇게 이번 오청원배 결승은 중일전으로 확정되었다.
 

                 제7회 오청원배 세계여자바둑오픈 결승 우에노 아사미  VS   탕자원

1국
2024년 11월 29일
우에노 아사미
탕자원
149수 흑 불계승
2국
2024년 11월 30일
탕자원
우에노 아사미
215수 흑 불계승
3국
2024년 12월 1일
우에노 아사미
탕자원
193수 흑 불계승
1국과 3국에서 우에노 아사미 5단이 승리하며 제 7회 오청원배 세계여자바둑오픈은 일본의 우에노 아사미 5단이 차지했다.
이로써 한국과 중국이 번갈아가며 우승을 차지했던 오청원배에 일본까지 가담하면서 올해 오청원배는 어느 나라에서 우승을 차지할지 주목해볼만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역대 결승 기록 보면서 이글을 마무리 하도록 하자.
 

                                     오청원배 세계여자바둑오픈 역대 결승기록

 
역대 결승 기록
회차
연도
우승
전적
준우승
비고
1회
2018년
김채영 四단
2:0
최정 九단
김채영, 초대 우승
2회
2019년
최정 九단
2:0
왕천싱 五단
 
3회
2020년
저우훙위 六단
2:1
위즈잉 六단
 
4회
2021년
최정 九단
2:1
위즈잉 七단
최정, 두 번째 우승
5회
2022년
오유진 九단
2:0
왕천싱 五단
 
6회
2023년
최정 九단
2:0
최정, 세 번째 우승
7회
2024년
2:1
탕자원 六단
 

 

역대 오청원배 세계 여자바둑오픈 결승 기록이다.

한국의 김채영 4단이 초대 우승을 차지 했고, 최정 9단이 무려 3번이나 우승컵을 들어올리면서 한국 여자 바둑 최강자의 저력을 나타냈다. 1회부터 6회 대회까지 한국,중국이 번갈아가면서 우승을 차지하다가 2024년에 일본의 우에노 아사미 5단이 첫 우승컵을 들어올린것이다.

 

 

반응형